Informacja

Drogi użytkowniku, aplikacja do prawidłowego działania wymaga obsługi JavaScript. Proszę włącz obsługę JavaScript w Twojej przeglądarce.

Wyszukujesz frazę "Idu Writing System" wg kryterium: Temat


Wyświetlanie 1-1 z 1
Tytuł:
HISTORY OF THE DATIVE MARKERS IN KOREAN LANGUAGE: FROM OLD KOREAN TO CONTEMPORARY KOREAN
한국어 여격조사의 역사: 고대한국어에서부터 현대한국어까지
Historia sposobu wyrażania celownika w języku koreańskim: od starokoreańskiego do współczesnego koreańskiego
Autorzy:
BAILBLÉ, Olivier
Powiązania:
https://bibliotekanauki.pl/articles/1040346.pdf
Data publikacji:
2016-11-04
Wydawca:
Uniwersytet im. Adama Mickiewicza w Poznaniu
Tematy:
Datives Markers
Early Middle Korean
Chinese Characters
Idu Writing System
Opis:
The focus of this paper an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re to show in a diachronic perspective how the dative markers in Korean Language have changed and evolved during two thousand years of history. The rise of new writing systems during 8th century such as Idu and also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e of the language between Chinese and Korean bring different conclus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different grammatical origins of dative markers and additionally the morphological changes will be shown in those structures, especially with the rise of the Korean Alphabet in 15th century.
이 연구는 한국어 여격의 변화를 통시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이천 년 전 한국인들은 외국에서 온, 다시 말해 한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풍부하지 않은 자료로 첫 번째 여격의 초기형태를 엿보기 위해서는 5 세기 광개토대왕의 비문을 참고해야만 한다. 하지만 광개토왕의 비문의 글은중국어 문법에 따라 한자어로 쓰여 있어 문장에 대한 판독은 쉽지 않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그 시대부터 한국사람들은 전통적인 한자어 구조를 한국어의 구조에 맞게 변경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두 표기법 (관료들의 문자) 의 출현에서 엿볼 수 있다. 이두 표기법은 고대의 텍스트에 존재하지 않은 한국어의 문법적인 형태를 재현해주고 있다. 게다가 12 세기경에는 우리는 이두 표기법의 여격에서 분명하게 이 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한편 이두 표기법은 훈민정음 창제로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을 맞이하게 된다. 이두 표기법으로 표현된, 중국어의 차용으로 표기된 조사는 대다수 한글로 대체되어 사라지게 된 것이다. 여격 또한 이 변화에 예의 없이 원래의 기원과는 많이 달라진 형태를 보여준다. 유교사상의 결합으로 생긴 사회계층에 의한 높임말에 변화에 따라 여격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기원은 우리가 누구와 대화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현대 한국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Źródło: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5, 1; 119-136
2449-7444
Pojawia się w: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ostawca treści:
Biblioteka Nauki
Artykuł
    Wyświetlanie 1-1 z 1

    Ta witryna wykorzystuje pliki cookies do przechowywania informacji na Twoim komputerze. Pliki cookies stosujemy w celu świadczenia usług na najwyższym poziomie, w tym w sposób dostosowany do indywidualnych potrzeb. Korzystanie z witryny bez zmiany ustawień dotyczących cookies oznacza, że będą one zamieszczane w Twoim komputerze. W każdym momencie możesz dokonać zmiany ustawień dotyczących cookies